반응형
티스토리 블로그에 가비아 도메인 연결하기는 비교적 간단하지만, 정확한 DNS(CNAME) 설정과 티스토리 블로그 내 도메인 입력이 필요합니다. 아래 단계별로 따라 하시면 누구나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.
1.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입 및 로그인
- 가비아(www.gabia.com)에서 원하는 도메인을 구매합니다.
- 가비아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My가비아 > 서비스 관리 > DNS 관리툴로 이동합니다5.
2. 가비아 DNS 레코드(CNAME) 설정
- 구입한 도메인 선택
- 연결할 도메인 우측의 설정 또는 레코드 수정 클릭.
- CNAME 레코드 추가
- “레코드 추가” 또는 “레코드 수정” 메뉴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.
타입호스트값/위치TTLCNAME @ host.tistory.io. 1800 CNAME www host.tistory.io. 1800 - **@**는 루트 도메인(예: abc.com), www는 www.abc.com을 의미합니다.
- host.tistory.io. 입력 시 마지막에 꼭 점(.)을 붙여야 하며, TTL은 1800(기본값)으로 두면 됩니다.
- 저장
- 입력 후 저장을 클릭해 DNS 설정을 완료합니다.
3.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도메인 연결
-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접속
- 티스토리 블로그에 로그인 후 관리 > 블로그 메뉴로 이동합니다.
- 개인 도메인 설정
- 화면 하단의 개인 도메인 설정에서 가비아에서 설정한 도메인(예: abc.com 또는 www.abc.com)을 입력합니다.
- 변경사항 저장
- 저장을 클릭하면 도메인 연결이 시도됩니다.
- DNS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다면 “확인 완료” 메시지가 표시됩니다.
4. 연결 후 주의사항
- DNS 전파 시간: 변경 후 적용까지 10분~24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. 바로 연결이 안 되면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시도하세요.
- 보안 접속(https): 티스토리에서 자동으로 인증서가 발급되며, 보안 접속이 활성화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.
- 애드센스 연동: 애드센스를 사용한다면, 연결된 도메인을 애드센스 사이트에 추가해 승인 절차를 진행하세요.
5. 요약
- 가비아 DNS 관리에서 **CNAME(@, www → host.tistory.io.)**로 설정
-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에서 개인 도메인 입력 후 저장
- DNS 전파와 인증서 발급까지 최대 24시간 대기
이 과정을 따르면 티스토리 블로그에 가비아 도메인을 문제없이 연결할 수 있습니다.
마지막 점 하나( host.tistory.io. )와 TTL 설정 등 세부사항을 꼭 확인하세요!
'블로그 수익화 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 블로그, 하루 방문자 수가 얼마나 되어야 수익이 날까? 실제 수익 구간과 수익화 전략 총정리 (2) | 2025.04.29 |
---|---|
티스토리 + 가비아 도메인 연결, ads.txt 오류 해결기 (삽질 방지 팁!) (0) | 2025.04.24 |
구글 애드센스 ‘가치가 별로 없는 콘텐츠’ 반려, 2025년 기준 해결법 (0) | 2025.04.19 |
초보자를 위한 블로그 운영법: 구글 SEO까지 잡는 성공 가이드 (1) | 2025.04.17 |
블로그 검색노출 방법: 초보도 가능한 구글 SEO 최적화 전략 (0) | 2025.04.17 |